Infra/Linux

01. 리눅스, Rocky Linux

swoody 2024. 10. 17. 23:58

리눅스의 탄생

  • 1991년 리눅스 토르발즈가 어셈블리어로 리눅스 커널 0.01 버전 처음 작성
  • 1992년 0.02 버전 소스 코드 공개

 

GNU 프로젝트

  • 리처드 스톨먼에 의해 시작,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목표
  • 1985년에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(FSF) 설립
  • FSF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의 대부분은 GPL 라이센스
  • GPL : 자유 소프트웨어의 변경/배포에 있어 자유를 보장

 

커널

하드웨어 장치 지원 여부에 관한 정보, 하드웨어 성능,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코드가 포함
리눅스 커널의 종류를 크게 4가지로 구분

  • Prepatch
    • 리눅스 토르발즈가 직접 관리하는 RC(Release Candidate) 버전
    • 신기능이 포함, 안정성이 떨어짐
  • Mainline
    • 리눅스 토르발즈가 실제로 운영하는 버전
    • Prepatch에서 구현된 신기능을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
  • Stable
    • Mainline에서 대부분의 버그가 잡힌 안정화된 커널
  • Longterm
    • 장기 지원 커널
    • Stable보다 안정적이며 장기간 업데이트를 지원

커널 컴파일 : 배포판에 포함된 기본 커널을 사용자가 직접 최신 커널로 업그레이드 가능

 

리눅스 배포판

리눅스 커널에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추가해 쉽게 리눅스를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

  • Red Hat Linux
    • Red Hat Linux 9을 마지막으로 무료 버전 종료
    • Red Hat Enterprise Linux(RHEL 유료 판매)
    • 레드햇 클론 리눅스 : GPL 라이선스를 위해 공개된 RHEL의 소스코드를 로고 변경 후 컴파일해서 만든 배포판
  • Fedora Linux
    • 페도라 프로젝트(Red Hat사가 후원)가 개발하는 리눅스
    • Red Hat사의 신기능이나 실험적인 기술을 Fedora Linux에 먼저 적용
  • CentOS(Community ENTerprise Operating System)
    • RHEL의 대표적인 클론 리눅스
    • Red Hat사에 설치, 문제 해결 등에 관한 기술 지원을 받을 수 없음
    • CentOS 8이 마지막
    • CentOS stream은 RHEL의 클론 리눅스가 아니라, 베타 버전에 가까움
  • Rocky Linux
    • CentOS의 개발자 그레고리 커처가 만든 CentOS를 대처하는 배포판
정리
실험적 신기능을 반영해 Fedora 제작 → 신기능이 안정화되면 REHL 제작 → RHEL의 소스코드를 재컴파일해서 Rockey Linux 제작

 

'Infra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02. 가상머신  (1) 2024.10.19